2019년 이빈 지진

북위 28° 24′ 18″ 동경 104° 57′ 25″ / 북위 28.405° 동경 104.957°  / 28.405; 104.957여진횟수규모 M2.0 이상 지진 65회 (6월 18일 8시 30분 기준)최대여진2019년 6월 22일 오후 2시 29분 규모 Mw5.3 여진[3]피해사상자13명 사망, 200명 이상 부상[4][5]

2019년 이빈 지진(중국어: 2019年宜宾地震)은 2019년 6월 17일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이빈시 부근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5.8의 지진이다.[1] 중국 지진 네트워크 센터에서는 표면파 규모 Ms6.0으로 측정하였다.[2]

여진

6월 18일 8시 30분 기준 규모 M2.0 이상 지진은 65회 있었다. 이중 규모 M5-5.9급의 지진도 2차례 있었으며 M4급 규모 지진 3회가 일어났다.[6] 같은 날인 6월 18일 오전 7시 34분에는 표면파 규모 M5.3의 지진이 일어나기도 했다.[7][8] 22일 오후 2시 29분에는 모멘트 규모 Mw5.3의 최대여진이 발생하였다.[9]

7월 4일에도 규모 M5.2의 여진이 발생하였다.[10]

지진 피해

지진으로 여러 산사태가 일어나 창닝현에서 9명이, 궁현에서 3명이 사망하였으며 창닝현, 궁현, 가오현 3개 현에서 135명이 부상을 입었다.[11][12] 오후 들어서는 인명 피해가 13명 사망, 200명 이상 부상으로 증가하였다.[13]

6월 22일 일어난 규모 M5.3의 여진으로 궁현에서 부상자 31명이 다시 발생하였다.[14]

7월 4일 일어난 규모 M5.2의 여진으로 창닝현에서 부상자 13명이 나오고 여러 건물이 붕괴되는 피해가 일어났다.[15]

또한 지진의 영향으로 창닝현 내의 많은 도로가 이용이 불가능해졌고 지진이 일어난 진앙 근처의 이빈-루저우 고속도로, 나시-치안 고속도로 일부분이 폐쇄되었으며 쓰촨성도 제309호선도 일부 폐쇄되었다. 이 외에 지진으로 4만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다.[16]

반응 및 대처

지진 후 쓰촨성 지방정부는 긴급 대응을 시작했으며 쓰촨성 당서기 펑칭화와 성장 인리는 구조를 지시했다.[17] 중화인민공화국 긴급관리부는 긴급 대응을 시작하여 쓰촨성 구급구조단 외 주변 6개 지역 구급대와 지진실무단을 파견하였다.[18][19]

같이 보기

각주

  1. “M 5.8 - 19km S of Changning, China”. USGS. 2019년 6월 17일.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2. “四川宜宾市长宁县6.0级地震”. 《中国地震台网》. 2019년 6월 17일. 
  3. “M 5.3 - 13km S of Changning, China”. USGS. 2019년 6월 22일.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4. “Death toll from Sichuan earthquake rises to 13”. chinaplus.cri.cn. 2019년 6월 18일. 2019년 6월 19일에 확인함. 
  5. “Death toll from China quakes rises to 12”. Straits Times. 2019년 6월 18일.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6. 宜宾地震已记录到余震65次!注意安全!.新浪财经
  7. “四川宜宾市长宁县5.3级地震”. 《中国地震台网》. 2019년 6월 18일. 
  8. “M 5.2 - 15km SSE of Changning, China”. USGS. 2019년 6월 17일.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9. “M 5.3 - 13km S of Changning, China”. USGS. 2019년 6월 22일.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10. “M 5.2 - 9km SW of Changning, China”. USGS. 2019년 7월 4일.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1. 이재준 (2019년 6월 18일). “중국 쓰촨성 이빈 규모 6.0 지진 사망자 12명...부상자도 135명(종합)”. 뉴시스.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12. “四川长宁6.0级地震已造成12人死亡 125人受伤”. 《中华网新闻》. 2019년 6월 18일. 
  13. “중국 쓰촨성서 규모 6.0 지진…13명 숨지고 200명 부상”. 연합뉴스TV. 2019년 6월 18일. 2019년 6월 19일에 확인함. 
  14. “19 injured after 5.4-magnitude quake hits China's Sichuan province”. straitstimes. 2019년 6월 22일.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15. “13 injured in Sichuan aftershock - Xinhua | English.news.cn”. Xinhuanet. 2019년 7월 4일. 2019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6. “长宁地震12小时:12人死亡百余人受伤 余震数十次”. 《中国新闻网》. 2019년 6월 18일. 
  17. “宜宾长宁县发生6.0级地震 彭清华尹力作出批示”. 《新华网》. 2019년 6월 18일. 2019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18. “多支力量第一时间赶赴长宁地震灾区 深夜救援 多名被困群众获救--四川频道--人民网”. 《sc.people.com.cn》. 2019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19. “四川省森林消防总队已启动二级应急响应--四川频道--人民网”. 《sc.people.com.cn》. 2019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M 5.8 - 19km S of Changning, China - USGS
  • Event 615956027 Sichuan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 v
  • t
  • e
1월
2월3월4월5월
6월
7월8월9월
  • 파키스탄 아자드 카슈미르(24일, M5.6)
  • 인도네시아 말루쿠주(25일, M6.5)
  • 터키 이스탄불(26일, M5.6)
10월
  • 필리핀 코타바토주(29일+31일, M6.6+6.5)
11월
12월
  • 필리핀 남다바오주(15일, M6.8)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