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태풍

1959년 북서태평양 태풍 시즌

1959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RSMC 도쿄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최초 발생일 1959년 2월 27일
소멸일 1960년 1월 2일
열대 저기압 소멸일 -
발생(명명)수 총합 23개
슈퍼태풍:6개
태풍:10개
열대폭풍:7개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연도별 문서
1958년 1959년 1960년



태풍의 세부 구분
(10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STS TY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이 문서에서는 1959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1959년에 발생한 태풍은 총 23개로, 이는 1981년 ~ 2010년 평균 발생 개수인 25.6개보다 적은 편이다. 대한민국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 사라, 일본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 베라, 대만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 조앤이 모두 이 해에 일어났다.

활동한 태풍

제1호 태풍 루비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2월 27일 ~ 3월 1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제2호 태풍 샐리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3월 4일 ~ 3월 13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55kt; 100km/h)
태풍 피해 -

제3호 태풍 틸다

4등급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4월 14일 ~ 4월 23일
최저 기압 93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25kt; 230km/h)
태풍 피해 -

제4호 태풍 윌다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4일 ~ 7월 8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5호 태풍 빌리

2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2일 ~ 7월 18일
최저 기압 97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5m/s (90kt; 165km/h)
태풍 피해 -

제6호 태풍 엘렌

3등급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일 ~ 8월 12일
최저 기압 96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0m/s (100kt; 185km/h)
태풍 피해 -

제7호 태풍 조지아

3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12일 ~ 8월 16일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5m/s (110kt; 205km/h)
태풍 피해 -

제8호 태풍 아이리스

2등급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19일 ~ 8월 23일
최저 기압 96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5m/s (90kt; 165km/h)
태풍 피해 -

제9호 태풍 조앤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5일 ~ 8월 31일
최저 기압 8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87m/s (170kt; 315km/h)
태풍 피해 -

1959년에서 가장 강한 태풍이며, 대만에 큰 피해를 입혔다.

제10호 태풍 케이트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5일 ~ 8월 27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0m/s (40kt; 75km/h)
태풍 피해 -

제11호 태풍 루이스

4등급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30일 ~ 9월 7일
최저 기압 96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12호 태풍 노라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5일 ~ 9월 12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제13호 태풍 패시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6일 ~ 9월 10일
최저 기압 96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중태평양에서 발생해 북서태평양으로 넘어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중태평양으로 넘어가 소멸하였다.

제14호 태풍 사라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1일 ~ 9월 19일
최저 기압 891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70m/s (140kt; 260km/h)
태풍 피해 849명 사망, 피해총액 1억 2000만 달러

한반도에 1억 200만달러(현재한화로 6조6620억원)와 사상자 800명의 피해를 입혔다

제15호 태풍 베라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1일 ~ 9월 28일
최저 기압 89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75m/s (150kt; 280km/h)
태풍 피해 -

일본에 5000여명의 사망자를 냈다.

제16호 태풍 에이미

1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3일 ~ 10월 9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5m/s (65kt; 120km/h)
태풍 피해 -

제17호 태풍 바브

열대폭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5일 ~ 10월 10일
최저 기압 100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0m/s (40kt; 75km/h)
태풍 피해 -

제18호 태풍 샬롯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9일 ~ 10월 19일
최저 기압 90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5m/s (145kt; 270km/h)
태풍 피해 -

제19호 태풍 다이나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14일 ~ 10월 25일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5m/s (150kt; 280km/h)
태풍 피해 -

제20호 태풍 엠마

3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5일 ~ 11월 15일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5m/s (110kt; 205km/h)
태풍 피해 -

제21호 태풍 프리다

4등급 태풍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13일 ~ 11월 19일
최저 기압 94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15kt; 215km/h)
태풍 피해 -

제22호 태풍 길다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2월 11일 ~ 12월 22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5m/s (150kt; 280km/h)
태풍 피해 -

제23호 태풍 해리엣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2월 22일 ~ 1월 3일
최저 기압 93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30kt; 240km/h)
태풍 피해 -
  • v
  • t
  • e
연도별 태풍
1950년대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